본문 바로가기
비행

복행 (Missed Approach)

by ☆▩ 2023. 6. 29.
반응형

ICAO-DOC8168에 근거한 복행 관련 내용입니다.

 

 

 

계기접근절차에서 복행  단계는 항공기의 외장, 고도와 자세를 변화시키는 등 업무량이 많은 상황에 직면한다. 이러한 이유로 복행의 설계는 가능한 단순하며 3가지의 단계를 포함한다(초기, 중간, 최종)(II-5-7-1 참고).

Missed Approach Point

각 계기접근절차에는 단 1개의 복행 절차만 만들어져 있다. 복행 기동 중에 장애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다. 복행이 시작되는 지점, 그리고 종료되는 시점이나 고도를 특정한다. 3D 접근(Lateral and Vertical guidance를 제공하는 접근) 운영에서는 접근 지속에 요구되는 시각 참조물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DA/H에서 복행을 시행해야 한다. 2D 접근 운영은 요구되는 시각 참조물 없이 MDA/H 아래로 강하할 수 없다. 접근이나 복행을 수행하는 동안 MDA/H 아래로 강하하면 장애물이나 지형지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없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절차에서 MAP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PV 또는 정밀 접근에 적용 가능한 DA/H와 글라이드 패스의 교차 지점과 항행 시설, FIX, WAYPOINT 또는 비정밀접근에서 FAF부터의 거리로 정의한다. PBN 비정밀접근 절차에서는 MAPt 웨이포인트는 보통 착륙 활주로 시단에 위치한다. 하지만 MAPt가 착륙 활주로 시단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의 offset 절차와 기타 절차를 위해서 가상의 threshold 지점(fictitious threshold point: FTP)에 위치한다. MAPt가 항행 시설, 웨이포인트나 픽스에 의해 정해질 경우, FAF에서 MAPt까지의 거리는 보통 표시되며 MAPt로의 시점에 사용될 수 있다. MAPt에 도달하기 전 요구되는 시각 참조물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장애물로부터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 복행을 바로 수행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복행 경로 요구사항은 우선하는 특별한 사항이 없는 경우, 복행 절차는 표시된 대로 수행한다. MAPt에 도달하기 전 요구되는 시각 참조물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장애물로부터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 복행을 즉시 수행한다. 복행을 MAPt에 도달 전 수행할 경우, MAPt에 도달할 때까지 접근 상 측면 경로를 따르도록 하고 보호된 공역 안에서 머무르기 위해 표시된 복행 절차를 따른다. 이는 절차에서 요구하는 고도보다 높은 고도로 MAPt 위를 비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복행 절차의 첫 요구사항이 고도에 의해 정의된 경우, 추가적 보호장치가 조기 선회의 안전장치로 제공되며, 운행이 가능하도록 요구된다. 조기 선회가 불가능한 경우, 접근 차트는 선회가 수행되는 가장 빠른 지점(DME, MAPt 또는 동등한 지점)을 특정한다.

 

복행의 구배(Missed Approach Gradient)

정상 복행 절차는 2.5%의 최소 상승 구배를 기본으로 한다. 2%의 구배는 필수적인 점검과 안전 조치가 제공됐을 경우 절차 설립에 쓰일 수 있다. 당국의 허가가 있으면 3/4/5% 구배도 운영에서 유리한 상황을 얻을 수 있는 상승 성능을 가진 항공기에 적용할 수 있다. 2.5% 이외의 구배가 사용될 경우 IAC에 표시된다. 비표준 구배를 위한 OCA/H에 추가하여, OCA/H를 정상 2.5% 구배에 적용 또한 표시될 것이다. 엔진 아웃 상황을 포함한 고중량, 비정상 환경에서 운영할 때 2.5% 이상의 정상 상승 구배를 기초로 한 복행 절차는 쓰일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운항은 비행장에서 특별 고려사항이 필요한데 이는 복행 구역의 장애물에 따른 위험사항이다. 이는 가능한 DA/H 또는 MDA/H의 증가와 함께 특별한 절차가 만들어진다.

 

초기 단계는 MAPt에서 시작하고 Start of climb에서 끝난다. 이 단계는 항공기 외장을 전환하고 상승자세를 만드는 것에 주요점을 둔다. 이 단계에서는 기동 중에 Guidance 장비가 과도하게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유로 인해 선회가 명시되지 않는다.

 

Start of climb에서 시작한다. 상승이 계속되고, 보통은 직진 비행이다. 50m(164ft)의 장애물 회피가 가능하고 유지된다면 첫 번째 지점까지 연장된다. 중간 복행 경로는 초기 복행 단계에서 최대 15도까지 변경될 수 있다. 이 구간 동안 항공기는 경로 수정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최종단계는 처음으로 50m(164ft) 장애물 회피가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새로운 접근, 홀딩 또는 En-route 비행으로의 복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연장된다. 선회가 이 구간에서 표시된다.

 

복행 절차에서 선회는 지형지물이나 기타 요소들에 의해 선회가 필요해질 때 표시된다. 장애물이 복행 절차 초반에 위치한 경우, 계기접근차트는 가능해지면 바로 특정 헤딩으로 복행절차 선회지시를 나타낸다. 선회를 위해 보호된 공역은 최종 복행 속도를 기초로 한다(II-5-1-1,2를 참고). 운항상으로 장애물을 피해야 할 경우, 지시대기속도는 중간 복행 구간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속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계기접근차트는 다음의 참고사항을 다룬다(복행 선회는 최대 _______IAS까지 제한함”). 접근 차트에 나온 주석을 준수하며 지체 없는 적절한 기동을 수행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