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행

선회 접근 - 써클링(Circling; visual manuevering)

by ☆▩ 2023. 6. 29.
반응형

ICAO-DOC8168에 근거한 써클링 관련 내용입니다.

 

계기접근이 완료된 후의 비행 단계를 설명하는 단어로 쓰임. 이것은 직진 접근에 적합하지 않은 활주로에 대한 항공기 착륙 위치로 이동시킨다. , 정렬 또는 하강 경사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는 활주로이다.

 

써클링 접근은 시계 비행 기동이다. 각각의 써클링 상황은 다른데 이유는 활주로 배치, 최종 접근 경로, 풍속, 지형적 조건 같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상황에서의 써클링 접근을 다루도록 설계된 단일 절차는 없다. 초기 육안 접촉 이후, 항공기가 시계 매뉴버링 구역에 머무르는 동안 활주로 환경이 시야에 확보되어야하며, 써클링을 하면서 MDA/H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된다. 선회 접근을 위한 비주얼 매뉴버링 구역은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써클링 구역

 

장애물 회피는 구역이 지정되면, OCA/H가 각 항공기 카테고리별로 지정된다. OCA/H가 지정되면, MDA/H도 운영을 위한 고려사항을 위해 특정된다. 다음 상황이 충족될 때 까지는 MDA/H아래로 강하해서는 안된다. 요구되는 시각 참조물이 확보되고, 매뉴버링 동안에 유지되며 착륙 시단이 육안에 확보되며, 요구되는 장애물 회피가 유지되고, 항공기가 정상 강하율과 각도를 가지고 착륙을 수행하는 위치에 있는 상황이다. 눈에 잘 띄는 장애물이 있는 써클링 구역은 계기 접근을 위한 최종 접근과 복행 구역 외부일 경우 OCA/H는 무시된다. 이 옵션이 수행될 경우, 명시된 절차는 장애물이 위치한 전체 섹터 내부에서 써클링을 금지한다.

 

계기 접근에서 착륙을 위한 써클링 중에 시각 참조물을 잃은 경우 절차를 위해 특정된 복행이 이어 수행되어야 한다. 써클링 매뉴버에서 복행으로의 전환은 상승 선회로 써클링 구역안에서 시작되어야하며, 방향은 착륙 활주로이다. 즉시 써클링 고도 이상으로 복귀한 후 복행 절차에 진입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기동을 하는 동안 IAS는 비주얼 매뉴버링과 관계있는 IAS의 최대속도를 넘어서면 안된다. 써클링 기동은 한 방향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각 참조물을 상실한 때의 위치에 따라 설명된 복행 경로에 항공기를 위치해야 하므로 다른 패턴들이 요구된다.

 

명확하게 정의된 시각적 구조가 허락하는 이러한 장소에서(그리고 운영함에 바람직한 경우), 써클링 구역에 더해서 비주얼 매뉴버링을 위한 특정 경로도 표시될 수 있다. 묘사된 비주얼 매뉴버링 경로는 구체적인 지형 특징이 그러한 절차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므로, 조종사는 절차에 설명된 미니멈을 운영하는 비행장 위의 기상 환경에 사용될 지형과 시각물에 익숙해져야 한다. 이 절차는 항공기 속도 카테고리에 근거한다. 경로나 근처의 특징물들을 정의하기 위해 쓰이는 시각물이 있는 특별 차트에 나타나있다. 이 절차에서 참조할 점은 내비게이션은 주로 시각 참조물에 의하며, 표현된 기타 내비게이션 보충 정보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한다.. 정상 계기 절차를 위한 복행이 적용되지만, 기술된 경로는 복행을 하도록 하며 안전 고도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매뉴버링이 가능하게 하며 이후 명시된 트랙 절차의 다운윈드 레그 혹은 계기 Missed Approach 궤적에 진입한다.

 

스탠다드 트랙(일반적인 경우)은 그림 ll-5-6-3 참고하며 각 구간의 방향과 길이가 정의되어 있다. 속도 제한이 명시된 경우, 차트에 표기된다.MOCOCA/H의 경우 표시된 경로의 시계 기동을 위한 OCA/H는 표시된 트랙 지역 내 가장 높은 장애물 위 MOC를 제공하며, 이는 시계 기동으로 이어지는 계기 접근 절차에 대해 계산된 OCA/H보다 작을 수 없다. 시각적 보조물의 경우 표시된 트랙(Sequenced 플래시 라이트, PAPI, VASIs )에 사용되는 활주로와 관련된 시각 참조물들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차트에 표시된다(: PAPI, VASIs의 경사). 장애물의 등화는 차트에 특정된다.

어프로치 카테고리 테이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