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지 공항 이외 지점으로까지 ATC의 Clearance를 받은 항공기에게 지연이 예상될 경우, ATC는 해당 항공기에 Holding을 지시하며 추가허가예상(Expected Further Clearance, EFC) 시간, 예상되는 지연 등을 발부합니다. 차트에 표시된 홀딩 패턴이 있으면 ATC는 홀딩 지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종사는 표시된 홀딩 패턴의 예상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조종사의 요구 시에 ATC는 언제든지 생략된 홀딩 지시를 모두 줄수 있어야 합니다. 표시된 홀딩 패턴도 없고 ATC의 지시도 없다면 조종사는 ATC에 홀딩을 요구해야 하지요. 그럼에도 홀딩 지시를 득하지 못한다면 진입 경로상에 있는 Standard Pattern을 사용하여 홀딩을 수행합니다.
허가한계점인 Clearance Limit까지 3분 이내로 접근했는데 추가 Clearance를 득하지 못했다면 Speed를 감속하여 홀딩을 위한 최대속도 이하로 허가한계점을 통과하도록 해야합니다. 지연 예상이 없는 경우, ATC는 가능한 빨리 최소 허가한계점 도착 5분 전에는 그 이후의 절차에 대해서 Clearance를 주어야 합니다.
FAA | Altitude | ICAO |
265kt | 34,001ft~ | M.83 |
20,001ft~34,000ft | 265kt | |
14,001ft~20,000ft | 240kt | |
230kt | 6,001ft~14,000ft | 230kt |
200kt | ~6,000ft |
이 속도는 운항상의 이유로 다음의 가장 가까운 다섯 배수로 반올림하며 운영 안전 측면에서 이러한 속도는 반올림되지 않은 원래 값과 동등하게 간주됩니다.
모든 선회는 25°(AIM은 30°)의 뱅크각이나 3°/sec 중 더 작은 양을 선택합니다.
알려진 바람의 감안
모든 절차는 트랙으로 그려져 있으며 헤딩과 타이밍의 수정을 적용한 바람을 감안하여 경로 유지를 합니다. 패턴 진입과 비행 중 수행되어야 합니다.
아웃바운드 타이밍의 시작
아웃바운드 타이밍은 FIX를 abeam하거나 지나가는 것 중 늦은 것을 선택합니다. abeam 위치지정이 없다면 아웃바운드로의 선회(fix end)가 완료될 때 시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DME 거리에 근거한 아웃바운드 leg의 길이
아웃바운드 레그의 길이가 DME 거리에 근거한다면, 지정된 DME 거리에 도달하자마자 아웃바운드 레그를 마칩니다.
Radial 지정
Station에서 떨어진 곳에서 홀딩을 할 때, 예를 들면 특정 VOR이나 FIX에서 수 마일 떨어진 곳의 홀딩 FIX에서 VOR 범위/측정장비(VOR/DME) 스테이션의 거리가 짧을 경우 RADIAL이 지정되고 지정된 RADIAL은 공역관리가 필수적일 경우 또한 필요합니다. 지정된 RADIAL에 지정된 DME 거리 전에 도달할 경우, 이 RADIAL은 인바운드 선회가 시작될 때까지 유지해야 합니다. 지정된 DME 거리가 가장 늦게 도달할 때 선회를 시작하도록 하고 ATC에 알립니다.
HOLD ENTRY
홀딩 패턴으로의 진입은 3개의 진입 섹터와 관련된 헤딩에 따르며 섹터의 경계선 양측면에서 5도 이내로 여유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홀딩 진입 제한사항은 VOR 교차지점에서 홀딩할 때는 진입 경로는 교차지점을 형성하는 Radial로 제한하고, VOR/DME의 경우 아래 사항이 제한됩니다.
- VOR Radial/ DME Arc(명시된 경우)/ 표시된 아웃바운드 말단에서 VOR/DME로의 진입 Radial
Section 1 진입의 경우 Parallel entry, 2.2.5 Sector 2 진입은 Teardrop(Offset) entry, 2.2.6 Sector 3 진입은 Direct entry의 방식으로 수행합니다.
Figure II-6-2-1. Entry Sectors
VOR/DME 홀딩 특별 진입 절차
아웃바운드 진입 헤딩을 비행하기 위한 체공시간은 14,000ft(4250m)이하는 1분/14,000ft(4250m)초과는 1분 30초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DME가 가능하다면 시간 대신 거리로 특정하여 아웃바운드 레그의 길이를 나타낼 것입니다.
바람효과에 대한 수정사항
홀딩FIX 인바운드를 지나기 전에 인바운드 경로로 다시 돌아왔는지 확인하기 위한 바람의 보정을 위해 헤딩과 시점에 대해 허용치가 있어야 합니다. Outbound 시는 선회조정을 Inbound 시는 편류수정의 3배로 조정합니다(예: Inbound에서 8° 좌선회 했을 경우 Outbound에서는 24° 우선회로 수정).
장애물 회피
홀딩 구역은 기본 홀딩 구역과 엔트리 구역을 포함합니다. 기본 홀딩 구역은 특정 고도에서 홀딩 패턴이 요구되는 공역으로 항공기 속도와 바람 효과, 시점 에러, 홀딩 픽스의 특징 등의 허용치를 두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엔트리 구역은 진입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공역입니다.
홀딩 구역 경계를 넘어 5NM까지 연장한 추가 버퍼 구역이 있습니다. 버퍼 구역의 중요한 장애물은 최소 홀딩 고도를 결정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입니다.
최소 홀딩 고도
허가 가능한 최소 홀딩 고도는 최소 300m(984ft)이상의 홀딩 구역 장애물 위이며 이는 버퍼 구역에서 60m(197ft)입니다.
고지대나 산악지역의 장애물 회피
추가적인 장애물 회피는 600m(1969ft)가 주어지며 터뷸런스나 다운드래프트, 기타 기상 현상이 고도계에 영향을 줄만한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Holding Pattern 진입시 직진입 가능한 3가지 경우는 ATC의 직진입 허가, No PT Course로 진입, Radar Vector를 통해 Final App 코스로 유도되는 경우입니다.
'비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능기반항법(PBN)과 지역항법(RNAV) (0) | 2023.06.30 |
---|---|
계기 착륙 절차(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0) | 2023.06.29 |
복행 (Missed Approach) (0) | 2023.06.29 |
선회 접근 - 써클링(Circling; visual manuevering) (0) | 2023.06.29 |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