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행23 항공기상(Aviation weather)-3(뇌우) 뇌우 뇌우의 상승기류는 수증기가 액화되거나 응축되는데 잠열을 대기로 방출한다. 층운은 대류성 구름이 층을 관통하고 뇌우를 형성하는 동안 다소 안정적인 층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거대한 층운에 완전히 묻혀있어 계기 비행에 보이지 않는 위협이 될 수 있다. 끼어있는 뇌우는 구름이나 두꺼운 연무층 안에 있어 보이지가 않는다. 뇌우는 3단계를 거치게 된다(응집, 성장, 소멸). 응집단계에서는 형성되어서 지속적인 상승기류를 생성한다. 이 상승기류는 찬 공기를 안쪽과 위쪽으로 끌고와서 성장 정도가 분당 3,000ft를 넘어간다. 성장 단계는 강우가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차가운 비는 하강기류의 압축 가열을 늦추고 하강기류는 주변 공기보다 더 차가워져 하강기류를 더욱 가속시킨다. 상승기류는 분당 6,000ft를 넘어선다.. 2023. 7. 17. 항공기상(Aviation weather)-2 온도 변화와 안정성 야간에 지구 표면에서 받는 태양 복사(일사량)가 들어오지는 않지만 방출 지구 복사가 계속되고 지표면은 냉각됨. 냉각은 일출 뒤 잠깐까지 지속되는데 이때가 들어오는 태양 복사가 다시 한번 방출되는 지구 복사를 초과할 때임. 최소 지표 공기 온도는 보통 일출 뒤에 관찰된다. 일사량은 일출 후 지표면이 달궈지면서 방출 지구 복사보다 커짐. 일사량의 최대는 대략 정오쯤이나 최대 지표 공기 온도는 오후 중간에 관찰된다. 이런 지연은 표면과의 전도 및 대류로 인해 지면 근처의 공기가 가열되는 데 걸리는 시간 때문이다. 방출 지구 복사량이 일사량을 넘어서면 지구는 다시 냉각된다. 육지의 넓은 지역은 기온의 변화가 크다. 일일 최대, 최소 온도가 물은 10도 밖에 차이가 없지만, 대륙은 50도까지도.. 2023. 7. 17. 항공기상(Aviation weather)-1 압력 체계 지표면의 불균형한 태양열 가열은 지구 기상 변화의 모든 원인이 된다. 기압골(trough)은 저기압이 길게 늘어진 구역에서 나타난다. 고기압권(anticyclone)은 고기압 지역이며 고기압 지역은 지표로 향하는 하강기류이며 외부로 향한다. 상승기류를 대신하기 위해 공기 흐름은 저기압으로 진입한다. 이러한 공기의 경향성은 불안정하고 보통 구름과 강수를 가져온다. 악기상이 저기압 기역과 관련이 있다. 열적 저기압(Thermal lows)는 상대적으로 얇고 약한 기압의 경사도를 가지고 있는데 건조하고 맑은 지역의 재표에서 보통 발견된다. 하강기류의 지역은 저기압대 지역이다. 기상 전선 지표의 바람은 정체전선에서 전선 지대를 따라 평행하게 흐르는 경향성이 있다. 항공기가 전선을 통과해 한대 지역으로.. 2023. 7. 15. 비행역학과 항공기(Aerodynamics and airplanes)-2 받음각과 양력 양력은 항공기 속력에 비례하며(예를 들면 같은 항공기로서 200노트의 항공기는 100노트의 항공기보다 4배의 양력을 가진다) 양력계수는 양력 생성에 있어 작용하는 복잡한 변수를 모델링하기 위해 쓰인다. 양력계수는 항공기 실속 속도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게 된다. 고고도에서 높은 진대기속도는 어떠한 받음각에서도 요구되는데 이는 공기의 밀도가 고도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라운드 효과에서는 항공기는 낮은 받음각을 필요로 하는데 그라운드 효과에서 벗어났을 때와 같은 양력을 만들기 위함이다. 받음각은 항공기의 양력, 속도, 항력을 제어하며 실속 속도 이상에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받음각과 양력계수 둘 다 줄여야 한다. 터빈으로 돌아가는 항공기는 실속에 있어 프로펠러 항공기와 다르며 프로펠러 .. 2023. 7. 15.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