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행23 선회 접근 - 써클링(Circling; visual manuevering) ICAO-DOC8168에 근거한 써클링 관련 내용입니다. 계기접근이 완료된 후의 비행 단계를 설명하는 단어로 쓰임. 이것은 직진 접근에 적합하지 않은 활주로에 대한 항공기 착륙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정렬 또는 하강 경사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는 활주로이다. 써클링 접근은 시계 비행 기동이다. 각각의 써클링 상황은 다른데 이유는 활주로 배치, 최종 접근 경로, 풍속, 지형적 조건 같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상황에서의 써클링 접근을 다루도록 설계된 단일 절차는 없다. 초기 육안 접촉 이후, 항공기가 시계 매뉴버링 구역에 머무르는 동안 활주로 환경이 시야에 확보되어야하며, 써클링을 하면서 MDA/H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된다. 선회 접근을 위한 비주얼 매뉴버링 구역은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장애.. 2023. 6. 29.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FAA는 GPS 신호의 정밀도와 신뢰도, 유용성의 증대를 위해 광역 보정 시스템(Wide Area Augmentation System)을 개발했습니다. WAAS는 GPS가 정상일 때, 이륙부터 Cat 1 정밀 접근까지 항공 항행 체계의 사용을 허용합니다. WAAS는 수용력과 안전요소를 증대시키면서 민간항공용으로 완벽한 위성 항법 체계를 위한 FAA의 전략적 목표의 주요 요소입니다. ICAO는 WAAS와 같이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s(SBAS)을 위한 표준 규칙(SARP)을 제정하였습니다. 일본, 인도 및 EU 또한 유사한 체계를 구축 중에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정밀도, 신뢰도, 유용성이 증가되면서.. 2023. 6. 29. 홀딩에 대한 설명-Holding Procedures 목적지 공항 이외 지점으로까지 ATC의 Clearance를 받은 항공기에게 지연이 예상될 경우, ATC는 해당 항공기에 Holding을 지시하며 추가허가예상(Expected Further Clearance, EFC) 시간, 예상되는 지연 등을 발부합니다. 차트에 표시된 홀딩 패턴이 있으면 ATC는 홀딩 지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종사는 표시된 홀딩 패턴의 예상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조종사의 요구 시에 ATC는 언제든지 생략된 홀딩 지시를 모두 줄수 있어야 합니다. 표시된 홀딩 패턴도 없고 ATC의 지시도 없다면 조종사는 ATC에 홀딩을 요구해야 하지요. 그럼에도 홀딩 지시를 득하지 못한다면 진입 경로상에 있는 Standard Pattern을 사용하여 홀딩을 수행합니다. 허가한계점인 Clearance .. 2023. 6. 29.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